티스토리 뷰
청년도약계좌는 청년이 내는 돈과 정부가 지원하는 돈을 합쳐 다달이 최대 70만원(최대 월 40만원 정부지원)씩 연 금리 3.5%로 저축해 5년 후 5,000만원을 받을 수 있게 하는 적금입니다.
즉 70만원 X 12개월 X 5년 = 4,200만원을 적금하면 5,000만원으로 돌려준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청년도약계좌는 자유롭게 납입 가능한 정부지원형 적금상품으로 청년의 중장기 자산형성을 지원합니다.
소득이 낮을수록, 청년의 납입액이 많을수록 정부 지원액이 늘어나도록 설계된 정책금융상품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청년도약계좌 은행별 금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은행별 금리
청년도약계좌 금리는 23년 6월 14일 출시를 하루 앞두고 취급 은행들의 최고 연 금리를 6%로 통일했습니다.
5대 시중은행의 기본금리를 연 4.5%로 상향 조정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은행별 확정 금리 비교공시는 아래 표와 같습니다.
우대금리 세부항목은 총 7가지가 있습니다.
1. 급여이체
2. 마케팅 동의
3. 자동이체
4. 월 사용 실적
5. 최초거래
6. 주택청약
7. 기타
은행별 적용 금리에 자세한 사항은 아래 링크로 접속해주시기 바랍니다.
만약 우대금리 합이 최대 우대금리가 넘더라도 최대 우대 금리까지만 적용됩니다.
은행 | 기본금리 | 우대금리 | 소득우대금리 | 최고금리 | 우대금리 세부항목 |
|
시중은행 | 농협은행 | 4.5% | 1.0% | 0.5% | 6.0% | 1,2,4,5/7 |
신한은행 | 1,4,5 | |||||
우리은행 | 1,2,3,4,5 | |||||
하나은행 | 1,2,4,5 | |||||
기업은행 | 1,2,3,4,5 | |||||
국민은행 | 1,3,6/7 | |||||
지방은행 | 대구은행 | 4.0% | 1.5% | 2,3,6 | ||
부산은행 | 1,4,5 | |||||
경남은행 | 1,5,6 | |||||
광주은행 | 1.7% | 1,4,5,7 | ||||
전북은행 | 1,2,3,4 |
SC제일은행은 2023에 출시되지 않고 2024년에 출시될 예정입니다.
▼▼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확인하기 ▼▼
기존 주거래 은행에 가입할 경우
▣ 우리은행
우리은행은 마케팅 동의와 자동납부 만기 유지 5년간 유지하면 급여 이체만으로도 1.0%를 모두 채울 수 있습니다.
1. 급여이체 : 50만원 및 30개월 이상 1.0%
2. 마케팅 동의 : 필수
3. 적금납입 자동이체 : 필수
4. 월 사용 실적 : 10만원 이상 및 30개월 이상 0.5%
5.직전 1년간 예적금 미보유 0.5%
▣ 기업은행
기업은행은 가입 시점 문자 수신을 동의하고, 월 2건의 자동납부를 유지하면 1.0%를 모두 채울 수 있습니다.
1. 급여이체 : 50만원 이상 및 36개월 이상 0.5%
2. 마케팅 동의 : 문자 0.1%
3. 자동이체 : 공과금 월 2건 이상 및 36개월 이상 0.2%
4. 월 사용 실적 : 연평균 200만원 이상 0.2%
5. 최초거래 : 실명등록일 3개월 이내 또는 가입일 직전월 기준 총 수신금액 0원 0.3%
▣ 전북은행
전북은행은 모두 급여이체와 월 사용 실적이 조건으로 달려있습니다.
기존 고객의 경우 지방은행 중 전북은행에서만 최대금리를 챙길 수 있습니다.
1. 급여이체 : 50만원 이상 30개월 이상 0.7%
2. 마케팅 동의 : 전체 0.2%
3. 자동이체 : 적금 납입 당행 자동이 30개월 이상 0.3%
4. 월 사용 실적 : 1원 이상 및 30개월 이상 0.5%
신규은행에 가입할 경우
▣ 농협은행
1. 급여이체 : 50만원 기준 50개월 0.5% / 36개월 0.3% / 12개월 0.1%
2. 마케팅 동의 : 전체 0.2%
4. 월 사용 실적 : 월 평균 20만원 0.2%
5. 최초거래 : 직전 1년 예적금 미보유 0.1%
7. 기타 : 청년희망적금 만기해지 0.1%
▣ 신한은행
1. 급여이체 : 50만원 및 30개월 이상 0.3%
4. 월 사용 실적 : 1원 이상 및 30개월 이상 0.3%
5. 최초거래 : 직전 1년 예적금 미보유 0.4%
▣ 하나은행
1. 급여이체 : 50만원 및 36개월 이상 0.6%
2. 마케팅 동의 : 전체 0.1%
4. 월 사용 실적 : 10만원 이상 및 36개월 이상 0.2%
5. 최초거래 : 예적금 미보유(청년지원정책상품은 무관) 0.1%
▣ 부산은행
1. 급여이체 : 50만원 이상 30개월 이상 0.5%
4. 월 사용 실적 : 가입기간 내 실적 500만원 0.5%
5. 최초거래 : 직전 3년 예적금 미보유 0.5%
청년희망적금 만기해지 후 가입할 경우
▣ 국민은행
1. 급여이체 : 50만원 이상 및 36개월 이상 0.6%
3. 자동이체 : 공과금 월 2건 이상 및 36개월 이상 또는 리브엠 통신요금 36개월 이상 0.3%
6. 주택청약 : 신규가입 0.1%
7. 기타 : 청년희망적금 만기해지 시 0.1%
▼▼ 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 확인하기 ▼▼
소득우대 금리
최종금리는 은행마다 설정한 기본금리 + 우대금리 + 소득 우대금리의 합산으로 정해지는데 이 중 소득 우대금리는 가입신청 시점과 1년 주기로 심사한 개인소득금액의 소득요건 충족 횟수로 결정됩니다.
소득요건은 기여금 지급 조건의 가장 하위 구간인 총급여 2,400만원 이하 및 종합소득 1,600만원 이하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즉, 가입 후 5년 동안 최하위 구간에 몇 회 해당되었는지에 따라 소득 우대금리가 바뀝니다.
(1회 해당될 때마다 공시금리의 20%를 지급하고 5회를 모두 채우면 100%를 모두 받을 수 있음)
소득 우대금리는 현재 11개 은행이 0.5%로 동일합니다.
5회를 모두 채웠을 때 0.5%를 모두 받을 수 있고, 1회를 채우지 못할 때마다 0.1%씩 차감됩니다.
만약 해당 구간에 한번도 해당되지 않은 가입자는 소득 우대금리를 전혀 받을 수 없습니다.
청년도약계좌 금리 효과
가입자의 소득과 가입 은행, 우대금리 여부에 따라 다르나 기본적으로 시중은행 가입으로 기본금리가 4.5%이고, 우대금리를 최대한 받고 월 70만원씩 납부하며, 출시 당시 기본 금리가 만기 시까지 유지된다고 가정하면 예상되는 효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전체적으로 총소득 2,400만원 이하인 청년이 가장 큰 혜택을 보지만 2,400만원 이상 6,000만원 이하 청년들도 이에 못지않은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소득 구간이 낮을수록 월 기여금을 최대한으로 받기 위해 납입해야할 금액이 작아집니다.
또한 7,500만원 이하 구간은 기여금이 없기 때문에 비과세 혜택만 간신히 받아 시중은행에서 6.5% 적금에 가입한 것과 비슷한 효과가 나옵니다.
현재 적금 금리가 꽤 올랐다고는 하지만 많은 시장의 적금 상품들이 우대금리 세부사항이 많아 조건을 충족시키기 어려운 만큼 단순 적금 상품을 대체할 용도로는 좋습니다.
다만 가입 기간이 너무 길어 중도해지시 정부지원금과 비과세 혜택을 받지 못하는 것은 주의하셔야 됩니다.
정부기여금은 소득에 따라 70만원을 전부 납부하지 않아도 최대로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소득기준에 따라 최대 효과를 보는 경우는 아래와 같습니다.
납부 가능 금액이 넉넉하다면 월 70만원 가득 채워 납부하는 것이 좋지만 그렇지 않거나 다른 상품에 투자할 돈이 필요한 경우 혹은 최소 금액으로 최대 효율을 원하는 경우에는 위의 월 납입액에 맞춰 내는 것이 하나의 방법입니다.
세제 혜택이 없는 일반 적금으로 비교할 경우 최대 10.19% 적금 상품에 가입한 것과 같은 효과가 나옵니다.
마무리
이상으로 청년도약계좌 은행별 금리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가입 조건과 신청 방법에 대해 확인하시고 5년 후 집 장만을 위한 목돈 마련에 도전해 보시기 바랍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놓쳐선 안될 꿀 정보 ▼▼